Home - 루시나 칼럼 - 부인과질병
트위터로 보내기 인스타그램
A형간염에 대하여 2019-05-23 15:20:13
작성자  루시나산부인과 정보없음 조회  989   |   추천  125

 

A형간염은 B형간염이나 C형간염처럼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의외로 쉽게 감염되며 성인에서는 1개월이상 6개월까지 아프게 됩니다. 간혹은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으며 임신중에 A형간염에 걸리면 무척 고생하거나 간혹 조산의 위험성이 증가하므로 A형 간염예방접종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A형간염은 B형간염이나 C형간염처럼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진행되지 않으며 대부분은 만성화되지 않고 회복되며 감염후 항체가 생겨 한번 앓고 나면 더 이상 걸리지 않습니다. 초기에 감기처럼 찾아오며 나이가 많을수록 경과가 좋지 않으며 최근 20~30대에 자주 발병합니다. 이는 50~60대는 어린시절 가난하고 비위생적인 환경에 노출되어 한번은 A형간염을 앓아 항체보유율이 90%이상으로 높지만, 20~30대는 비교적 위생적이고 좋은 환경에서 자라 항체가 없는 상태에서 직장이나 학교 단체생활이나 비위생적인 식당 등에서 감염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A형간염은 B형간염과 C형간염과 다르게 혈액을 통해 감염되지 않고 직접 감염자와 접촉하거나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을 통해 전파되는 유행성 전염성간염입니다.

 

 


 

히포크라테스에 의해 유행성황달인 간염이 처음 기술된 이후 A형간염 바이러스는 1970년대에 확인되었고 혈청학적 검사법이 개발되어 다른 바이러스 간염과 감별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국내에서는 A형 간염 발생은 1990년대말부터 증가하여 매년 1000여명내외의 환자가 발생하였으나 2016년에는 4677명으로 환자수가 급증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A형 간염은 A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 바이러스는 27nm의 껍질이 없는 RNA바이러스로 유전자는 7500개의 염기쌍으로 크게 P1, P2, P3의 세단백 유전자로 나눕니다. 현재까지 7가지의 유전형으로 분류되며 전세계적으로 I형과 III형이 가장 흔하며 우리나라는 IA유전형에 의해 발생합니다.

 

A형 간염 바이러스는 수개월간 일반환경에서 생존이 가능하며 건조저온상태에서는 1개월 생존하며, 수분이 있는 곳에서는 12개월 이상 생존합니다. 85도 이상의 고온 포르말린 염소에 의해서는 불활성화됩니다.

 

 


 

발병기전

A형 간염은 분변-경구(입) 경로로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 전파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분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을 섭취를 통한 간접전파, 성접촉 등 전파경로가 다양합니다.

입을 통해 체내에 들어온 A형간염 바이러스는 간에서 증식되는데, 간염 후 10 ~12일 후부터 바이러스 혈증이 생기고 간기능 이상이 지속될 때까지 유지됩니다.

바이러스 농도가 가장 높은 시기는 임상증상이 시작되기 2주전이며 이때 가장 감염력이 높은 시기입니다. 바이러스는 담도계(담즙이 간에서 십이지장으로 전달되는 구조)를 통하여 임상증상에 관계없이 대변으로 배출됩니다.

 

 

A형간염의 임상증상

 

A형간염은 평균 28일(15~50일)의 잠복기 후에 무증상으로 지나가거나 열, 구역질 및 구토, 권태감, 암갈색 소변, 식욕부진, 황달 등의 임상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런 증상은 다른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급성간염과 구별이 불가능하며 대체로 2개월 이내로 사라집니다. 환자의 10~15%에서는 6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되거나 재발되기도 합니다. 소아의 경우는 증상이 약합니다. 7세 이하의 약 70%는 증상이 없으며 설사, 기침, 코감기, 관절통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성인 환자는 75~97%가 증상이 있으며 이중 40~70%에서 황달이 동반됩니다. 콧물과 기침이 없는데 감기기운이 있고 구토증상이 점점 심해지면서 소변색이 짙어진다면 A형간염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합병증 

드물지만 갈랠-바레증후군, 급성신부전, 담낭염, 혈관염, 관절염 등이 나타날수 있으며, 그리고 재발성 간염, 자가면역간염 등의 비전형적인 임상양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합병증은 전격간염으로 80%까지도 사망 할 수 있으며 기존에 만성간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더 흔히 나타나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예방접종이 매우 중요시됩니다.

 

 

 

 

A형간염은 임상적, 역학적 소견만으로는 다른 간염바이러스와 감별이 어렵습니다.

확진은 A형간염 바이러스의 IgM anti-HAV를 확인합니다. 임상증상 발현 5~10일전에 IgM 항체가 대부분 나타나며, 감염후 6개월까지 지속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간염초기에는 환자의 약 5%에서 IgM항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A형간염이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는 1주정도 지난 다음 IgM항체검사를 다시 시행합니다.

 

 

 

치료

특별한 치료법은 없고 대증요법을 합니다.

항체검사를 하여 확진이 되면 구토나 고열에 대한 증상 완화를 위한 약을 처방하고 충분한 영양공급과 휴식이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완전히 회복할 때까지 심한 운동이나 장시간의 신체활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

A형 간염환자와의 접촉과 굴, 홍합, 대하 등 조개류를 날것으로 섭취하는 것은 위험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A형간염백신은 2015년 국가예방접종으로 포함되어 현재에는 12~36개월 모든 소아에게 무료로 접종이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1) 일반관리

A형간염 바이러스는 고압증기멸균, 자외선, 포르말린, 요오드, 염소 등으로 처리하면 불활성화 됩니다. 1분간 85도 이상의 열을 가해야만 바이러스가 죽기 때문에 끓인 물이나 제조된 생수를 식수로 마십니다. 

조개류는 90도에서 4분간 열을 가하여 익히고, 과일은 껍질을 벗겨먹는 것이 좋습니다.

 


 

 

2) 환자관리

A형간염 환자는 황달증상 발생 후 7일까지 격리하며, 환자나 보균자의 배설물에 오염된 물품은 소독하도록 합니다.

A형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된 사람 중 과거병력이 없거나 A형간염 백신 접종 이력이 없는 경우는 백신이나 면역글로불린(항체)를 가능한 빨리 접종 받아야 합니다.

A형간염 바이러스 노출 후 2주 이내 면역글로불린을 0.02 mL/kg투여하면 85%에서 현증감염이 예방됩니다.

 


 

 

3) 임신중에도 예방접종이 가능합니다

임신중에 A형간염에 대한 항체가 없다면 A형 간염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신 중 엄마의 A형 바이러스가 태아에게 전염 될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조산과 같은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A형 백신은 불활성백신으로 태아에게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임신 중이라도 안심 하고 접종 할 수 있습니다. 예방백신은 백신종류에 따라 6~12개월후, 6~18개월후에 추가로 접종을 하여 100% 항체가 생기며 95%이상 예방효과가 있습니다.

 


 

 

 


 
 

해당 게시물은 2019-12-02 11:00:19 에 운영자님에 의해 건강정보 에서 부인과질병 으로 이동 되었습니다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추천 소스보기 
목록
- 이전글 : 다모증에 대하여 2019-05-20 12:00:57
- 다음글 : 일본뇌염 2019-05-22 13:57:04